A 선데이광명
뒤로가기
국회
- 510억원들여 복원한 통일신라시대 월정교, 18세기 청나라다리와 유사 - 1,300억원 투입되는 황룡사9층 목탑복원안, 중국과 일본의 양식이 반영되며 북한측 자료는 배제 - 지자체별 경쟁적으로 이루어지는 문화재 복원사업 실태를 철저히 파악하여 문화재청이 컨트롤 타워역할을 수행해야
[국감] 문화재인가? 세트장인가? 9,400억원 투입되는 경주왕경 핵심유적 부실복원 문제 심각
2021. 10. 05 by 선데이광명

[국감] 문화재인가? 세트장인가? 9,400억원 투입되는 경주왕경 핵심유적 부실복원 문제 심각
[국감] 문화재인가? 세트장인가? 9,400억원 투입되는 경주왕경 핵심유적 부실복원 문제 심각

 


문화재청과 경주시는 지난 2014년부터 총사업비 9,400억원이 소요되는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 정비사업을 추진중에 있다. 그러나 추진과정에서 복원관련 연구용역, 건립 및 주요정비 등 주요세부 사업이 복원고증의 전문성을 지닌 문화재청이 아닌 관광자원개발에 초점을 맞춘 지자체가 주도하여 진행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문화체육관광위원회, 경기광명갑)이 문화재청, 경주시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 복원완료된 경주 월정교 복원사업의 경우 국비 357억, 지방비 135억원 총 510억원이 투입되었음에도 복원관련 연구용역 등은 시행청인 경주시에서만 주관했고 문화재청 및 산하기관에서 주관한 연구용역은 없었던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월정교의 경우 복원과정에서 교각의 형태 등 고문헌 기록조차 무시되면서 그간 8세기 통일신라양식이 아닌 18세기 청나라 다리를 모방했다는 비난이 있어왔다.
 
경주 황룡사지 복원사업의 경우 총 사업비 2,700억원 중 절반인 1,300억원 가량이 9층목탑 복원사업으로 계획되어 있으나 이 역시 부실복원 논란이 있다. 지난 2012년 한국전통문화대학교가 경주시의 의뢰를 받아 완성된 황룡사 9층목탑 복원모형은 중국과 일본탑의 형태가 반영된 것이며, 비례미 등이 우리나라 전통탑과는 거리가 먼 형태라는 논란에 휩싸여왔던 것이다. 또한 복원연구 과정에서 지난 2005년 북한에서 공개된 황룡사 9층목탑의 원형으로 추정되는 개성 불일사 금동9층탑 관련자료는 복원연구에 전혀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증논란에도 경주시는 지난 2016년 148억원의 예산을 들여 복원모형을 전시하기 위한 황룡사역사문화관을 개관하여 경주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복원모형을 전시하고 있다.

임오경 의원은 “철저한 고증 없이 복원할 경우 원형 보존이라는 가치를 훼손해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위마저 흔들 수 있기 때문에 지자체별로 경쟁적으로 이루어지는 문화재 복원사업 현황들을 철저히 파악하여 문화재청에서 컨트롤타워가 되어 주도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연구자료에만 국한되지 말고 통일부와 협의하여 남북 문화재 공동연구를 추진할 것도 제안한다 ”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